재테크

대출 용어 3대장 (LTV, DTI, DSR) 알아보기

월급 대신 배당 2022. 10. 10. 10:05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출받을 때 자주 들리는 용어 LTV, DTI, DS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뉴스 혹은 매체에서 용어 자체에 대해서는 자주 들으셨을 텐데요 의외로 그 뜻을 모르시는 분 들이 있더라고요.

은행이나 부동산 가면 알아서 해주는거 아니야?라고 생각하실 수는 있겠지만 미리 알아놓고 자신의 상황에 가장 맞는 집을 고를 수 있으면 더 좋겠죠? 집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제일 중요한 요소잖아요.

 

LTV (주택담보대출)

 

말 그대로 주택을 살 때 최대한 얼마까지 대출받을 수 있는지입니다.

7억짜리 집을 LTV 70% 까지 받을 수 있다면 4.9억 원을 대출받을 수 있고, 30%인 2.1억은 나한테 현금으로 있어야겠죠.

여기에서 집의 가치는 아파트의 경우 KB 부동산 시세로 하고 주택의 경우는 좀 더 복잡한 계산 식이 필요한데 여기서는 넘어갈게요

 

DTI (1년 소득에서 원금, 이자 상환 능력)

 

은행에서 돈을 많이 빌려 주면 좋겠지만 돈을 빌린 사람이 먹튀 할 것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겠죠? 은행에 같아야 하는 원금과 이자를 연소득으로 따져서 대출한도를 정하게 되는 비율입니다. 한 해 동안 갚을 원리금이 연소득의 일정 비율을 넘지 않아야 한다는 기준이라고 볼 수 있죠. 더 강화된 DSR이라는 규제가 있기 때문에 간단히 하고 넘어갈게요.

 

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주택 원리금 외에 신용 대출, 학자금 대출, 장기 카드 대출 등을 모두 더한 부채의 상환 비율입니다. 따라서 DTI로 따질 때보다 대출 한도가 더 축소되겠죠? 이전에 포스팅 한 아래의 글도 참고해 주시고요~

2022.09.26 - [분류 전체보기] - DSR (Debt Service Ratio) 산정 시 연소득은 세전? 세후?

 

DSR (Debt Service Ratio) 산정 시 연소득은 세전? 세후?

늘어나는 가계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2021년 7월을 시작으로 2년간 DSR (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 규제가 적용 및 확대됩니다. | 21.07 : 시가 6억 원 초과 주택 및 1억 원 초과 신용대

dividends-no-salaries.tistory.com

2022.09.27 - [분류 전체보기] - DSR 상관 없이 받을 수 있는 대출은?

 

DSR 상관 없이 받을 수 있는 대출은?

안녕하세요. 대출을 받으려 해도 저같이 영끌한 사람들은 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로 인해 대출을 받기 힘드시리라 생각됩니다. 현행 규제에 대한 부분은 아래에서 확인 하시고 ~ https://d

dividends-no-salaries.tistory.com

 

글로벌 경기 침체 이슈, 가파른 금리 상승 추세로 부동산 시장도 침체되고 있는데요. 지속되는 저금리 추세 속에 끝없이 금리를 올릴 수는 없을 겁니다. 금리를 내리는 시기가 언젠가는 올 것이고(전문가들은 2023년을 그 시기로 봄), 그때가 오면 부동산 시장도 점점 살아나지 않을까요? 그날을 대비해 우리 부동산 공부도 어렵겠지만 같이 해나가자고요~ 

반응형